이 장에서는 Servlet(서블릿)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.
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보낼 때 form 태그를 통해 요청을 보내는 방법이 있습니다.
1. 서블릿의 파라미터
서블릿의 파라미터는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 타입을 받습니다.
예를 들어 JSP에서 form 태그를 통해 서블릿으로 데이터를 요청했다고 하면,
웹 서버에서는 request 객체로 요청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response 객체로 요청에 대한 응답 값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.
먼저 request 객체의 기본적인 메소드는
getParameter(name) - name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가져옴
getParameterValues(name) - name에 대한 파라미터 값들을 가져옴
getParameterNames() - 모든 파라미터 이름을 가져옴
위 3개의 메소드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 받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
2. 서블릿 초기화 파라미터(ServletConfig)
초기화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특정 서블릿이 생성될 때, 초기에 필요한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서블릿 클래스에서 @WebInitParam 어노테이션을 위와 같이 추가해주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여러 값들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, 설정 값이 많은 경우는
@WebInitParam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고, web.xml 파일에 기술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
3. 웹 어플리케이션 감시(ServletContextListener)
서블릿의 생명 주기를 감시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.
사용 방법은 ServletContextListener 인터페이스를 참조하는 클래스를 생성하여 @WebListen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리스너임을 명시해줍니다.
다음, 명시되지 않은 메소드를 생성(destroy, init)하여 동작할 코드를 작성해주면 서블릿 생성주기를 감시할 수 있게 됩니다.
**서블릿의 생명주기 참고
웹어플리케이션 실행/종료 = ServletContextListener의
contextInit~ dest~
해당 서블릿이 실행/종료 = init(), destroy()
서블릿 선처리 후처리 = @PostConstruct, @PreDestroy 어노테이션
순서 : Listener init > @PostConstruct > init() > doGet or doPost > destroy() > @PreDestroy > Listener dest~
[웹 개발] 쿠키와 세션 (0) | 2018.11.30 |
---|---|
[웹 개발] JSP 개요 (0) | 2018.11.27 |
[웹 개발] JSP Servlet 개념 (0) | 2018.11.27 |
Java Summary(Basic) (0) | 2018.11.17 |